목차
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물리 계층 위에 위치하며, 어떤 장치가 언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1. 들어가면서
데이터 링크 계층을 이해하기 위해, 다음 두 소계층으로 나눌 수 있다.
소계층 | 주요 기능 |
---|---|
Data Link Control Sublayer | Framing, Error Control, Flow Control |
Media Access Control Sublayer | 매체 접근 제어 (MAC) |
1.1. 데이터 통신 방식
- Point-to-Point Link: 1:1 전용 회선 -> MAC 프로토콜 불필요
- Multi-Point/Broadcast/Shared Link: 다수 공유 회선 -> MAC 프로토콜 필요
2. MAC의 주요 issues
- 매체 접근 시점 결정: medium(매체)에 언제 접근할거냐?
- 매체 상태 대응: medium(매체)가 바쁘면 뭐할거냐?
- 전송 성공/실패 판단: 전송이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 어떻게 알아낼거냐?
- 충돌 처리: 만약에 전송 실패(충돌)했다면 뭐할거냐?
3. MAC의 주요 과제
- 다수의 장치 간의 매체 공유: 여러 장치가 같은 전송 매체를 사용할 때, 어떤 장치가 데이터를 보낼지 결정하는 규칙을 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더넷 네트워크에서는 여러 컴퓨터가 동일한 유선 네트워크를 공유한다.
- 충돌 방지 및 효율적인 전송: 동일 매체를 여러 장치가 동시에 사용하면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충돌을 피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규칙을 마련해야 한다.
- 공정성 유지: 여러 장치가 공평하게 매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송 우선순위와 전송 기회를 공정하게 배분해야 한다.
4. MAC 프로토콜
MAC 프로토콜: 네트워크 내 여러 장치가 동일한 통신 매체를 사용할 때 어떤 방식으로 전송 권한을 부여할 것인지를 정의한다.
MAC 프로토콜은 크게 채널 접근 방식을 제어하는 규칙에 따라 나뉜다.
4.1. MAC Protocol 분류
- Random Access Protocol
- ALOHA
-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SMA/CD(CSMA/Collision Detection)
- CSMA/CA(CSMA/Collision Avoidance)
- Controlled Access Protocol
- Reservation
- Polling
- Token Passing
- Channelization Protocol
-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TDMA(Time DMA)
- CDMA(Code DMA)
참고
- 데이터 링크 계층의 역할과 이더넷
- Data Communications and Networking with TCP/IP Protocol Suite, Sixth Edition - Behrouz A, Forouz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