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
NAT 네트워크는 호스트와 VM이 같은 IP대역대를 갖게 되면 NAT 네트워크가 충돌하거나, 호스트 시스템이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대로 라우팅하지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네트워크 장치가 동일한 IP 대역에서 어떤 장치로 데이터를 보내야할지 명확히 구분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테스트 하신 것과 같이 IP 대역대가 동일하다면 사실상 그건 브릿지와 개념상 다를 바가 없습니다. 대역대를 같이 쓰려면 브릿지를 써야합니다. NAT을 쓰려면 대역대를 다르게 써야합니다.
NAT 설정의 예를 들어 호스트 IP가 192.168.0.10이라면 subnet ip를 192.168.10.0으로 바꾸시면 원하시는 NAT에서의 외부 접속이 가능합니다. 포트포워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