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기능 - 다양한 서버의 역할담당
- 웹 서버 기능: 웹 서비스를 제공
- DNS 서버 기능: 실제 IP로 호스트에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도메인만으로도 호스트에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 메일 서버 기능: 메일 보내기/받기 서비스 제공
- ftp 서버 기능: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 NFS 서버 기능: 다른 호스트에 있는 파일 시스템의 일부를 자신의 디렉토리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
SAMBA 서버 기능: 서로 다른 운영체제하에서 특정 파일이나 프린터기 등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클라이언트 - 서비스 요청 -> 서버 클라이언트 <- 서비스 제공 - 서버
리눅스 구조
커널 ⊂ 쉘(Shell) ⊂ GNU utility
- 커널(Kernel): 리눅스 운영체제의 핵심적 영역 담당. 프로세스 스케줄링, 응용 프로그램과 HW 장치 사이의 인터페이스 등을 담당
- 쉘(Shell): 사용자 요청에 대해 명령을 읽어서 실행. 멀티 프로세스 제어, 리다이렉션, 쉘 스크립트 기능을 제공.
- 종류: bash, tcsh, ash, rc, zsh 등
- GNU utility:
리눅스 배포판
- 쉘 + 리눅스 커널 + GNU + 공개 프로그램 => 리눅스 배포판
-
리눅스는 누구나 자유롭게 배포가 가능.
- 국내 리눅스 배포판: 상용 배포판으로 아시아눅스, sulinux, 다이나 리눅스 등
- 국외 리눅스 배포판: 슬랙웨어, 레드햇, 수세(SUSE), 데비안, 우분투 등
- 슬랙웨어: 대중화된 리눅스 배포판. 사용 용이. 안정된 운영체제로 인기. 관리의 어려움. CLI
- 데비안:
- 레드햇: 가장 인기있는 배포판. X 윈도우 기반의 설치 및 설정도구 제공. 그래픽 인스톨 환경 - 아나콘다 제공. RPM (RedHat Packaging Manager) 개발. 상용화 되면서 RHEL(엔터프라이즈) 버전과 무료 배포판인 페도라(FEDORA)로 발전.
- 우분투: DELL 컴퓨터와 협력해 우분투 탑재 시스템 생산. 목적(데스크탑에서 쉬운 리눅스 사용. GUI). 데비안/GNU 리눅스 기반. 사용자가 손쉽게 운영체제 사용토록 함. 오픈오피스, 파이어폭스 브라우저 제공.
- CENTOS: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소스 그대로 빌드. 레드햇 리눅스에 가장 근접. 네트워크 서버뿐만 아니라 임베디드 시스템의 운영체제로 활용.
리눅스 디렉토리 개요
디렉토리 구조
- / (root 디렉토리): 크기가 작은 파일들이 있는 디렉토리를 포함. 루트 디렉토리에 데이터 디렉토리를 설정해 많은 데이터 파일 저장 시 크기를 좀 더 크게 설정해도 무관.
- /bin (binary 실행파일 저장): 리눅스 기본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공간
- /dev (device): 리눅스 시스템의 모든 장치들이 파일로 표시되어 있음. 주요 디바이스 표시 ex /dev/nda: Master IDE 하드디스크 /dev/ndb: Slave IDE 하드디스크 /dev/sda: 첫 번째 SCSI 혹은 S-ATA 하드디스크 /dev/cdrom: cdrom 드라이브 /dev/tty0: 첫 번째 가상 콘솔
- /boot (커널 부트 이미지 파티션): 시스템이 부팅될 때 부팅 가능한 커널 이미지 파일을 담고 있는 디렉토리
- /home (사용자 계정 파티션): 사용자 계정이 위치하는 파티션으로, 익명 ftp 서비스를 할 때 혹은 웹 호스팅 서비스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파티션 용량을 크게 설정
- /etc: 시스템 환경설정 파일 및 부팅 관련 스크립트, 사용자 계정 정보가 저장
- /lib (library):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공유 라이브러리 이미지와 프로그램 공유 코드 부분을 저장.
- /mnt (mount): 파일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마운트 할 때 사용.
- /usr (user,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설치될 파티션): 리눅스 디렉토리 중 가장 많은 용량을 차지하는 곳으로 사용자에 대한 대부분 프로그램 설치(응용 프로그램). /usr/local: 새로운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곳 /usr/src: 프로그램의 소스가 저장 /usr/include: c/c++ 프로그램의 헤더 파일이 들어있는 곳
- /proc (process): 일종의 가상 파일 시스템으로 메모리 정보만을 담고 있다. 우리가 흔히 ps 프로그램이 여기에서 프로세스 정보 등을 참조하고, 디렉토리 내용을 편집하면 메모리에 운영 중인 커널 기능을 제어할 수 있음.
- /opt (operation):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공간.
- /sbin (system binary): 시스템 관리용 프로그램 저장
- /tmp (temporary): 임시 파일을 저장
- /var: 로그 파일이나 스풀 파일이 저장(파일 크기 변경)
- /lost+found: 파일 시스템 결손 복구
허드(HUR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