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크와 파티션
-
파티션: 물리적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의 논리적 디스크로 나누는 작업을 의미
- 윈도우: IDE 방식, SCSI 방식 가리지 않고 모두 C:/로 인식
- 리눅스 IDE 방식: hda, hdb 등과 같은 형식으로 이름 설정 SCSI 방식: sda, sdb 등과 같은 형식으로 이름 설정
C:/ 루트 파티션 d:/ 데이터 파티션 —
리눅스 설치 시 각 파티션 설정
- 리눅스 네이티브 파티션: 리눅스가 실제 설치되는 파티션으로 마우스 포인트를 지정
- 마운트: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디스크 관리 기법 리눅스는 하드웨어 장치를 파일로 지정해 인식하므로 하드디스크의 드라이브 개념 대신 hda, hdb 등으로 인식 최상위 디렉토리 구조(/)를 기준으로 각 파티션을 하위 디렉토리로 인식해 사용
- swap 파티션: 부족한 메모리 용량을 하드디스크가 대신하는 것으로, 리눅스 작업 시 실제 메모리 용량(RAM)보다 더 큰 메모리가 필요한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위해 필요한 공간 (리눅스는 스왑 영역을 꼭 분할해야 함.) ex) 메모리 용량 512MB -> 스왑은 1GB 정도 설정(장착된 메모리 용량의 2배 정도를 설정)
디스크 장치 설정
-
디스크 인터페이스 방식: IDE, E-IDE 방식에서 각각의 하드디스크, CD-ROM 등을 인식하는 장치 파일 1번째 슬롯의 IDE 두 번째 파티션 영역 -> /dev/hda2
첫 번째 슬롯(Primary)
- Master /dev/hda
- Slave /dev/hdb
두 번째 슬롯(Secondary)
- Master /dev/hdc
- Slave /dev/hdd
CD-ROM /dev/cdrom
master, slave?
-
디스크 인터페이스 방식: SCSI, S-ATA, USB 메모리 장치 파일 1번째 SCSI 하드디스크 /dev/sda 2번째 SCSI 하드디스크 /dev/sdb
1번째 SCSI CD-ROM /dev/scd0 2번째 SCSI CD-ROM /dev/scd1
1번째 SCSI 하드디스크(프라이머리 또는 확장 영역) /dev/sda1
1번째 SCSI 하드디스크(logical 영역) /dev/sda5
프라이머리, 확장, logical 영역?
Linux 파티션 구조
하드디스크 파티션의 종류
- 프라이머리 파티션(Primary partition): 윈도우에서 C드라이브라고 불리는 공간. 부팅가능한 파티션/하나의 물리적 디스크에서 총 4개까지 만들 수 있다. 파티션 번호 1~4번까지 할당.
- 확장 파티션(extended partition): 논리적 파티션으로 다시 세분화시킬 수 있는 공간. 하나의 물리적 디스크에 1개만 생성 가능. 프라이머리 파티션 영역 내에 대체해서 사용(즉, 프라이머리 3, 확장 1).
-
논리 파티션(logical partition): 확장 파티션 안에 생성. logical 파티션은 12개 이내로 생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영역. 파티션 번호 5번 이후 할당.
하드디스크 = P + P + P + E = P + P + P + (L + … + L)
- 파티션 정보는 마스터 부트 레코드(MBR)에 저장.
- 하드디스크의 파티션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하드디스크 첫 번째 섹터에 저장.
- 시스템 부팅시 BIOS에 의해 인식되는 시작 섹터로 부팅관련 정보가 저장.
리눅스 파일 시스템
파일시스템: OS가 하드디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법. OS별로 지원시스템이 다름.
- ext2: 안정적. 뛰어난 성능. 서버의 비정상적 종료나 예기치 않은 사건으로 인한 서버 다운으로 재부팅 시 데이터 손실 방지와 구조 확인을 위해 윈도우의 scandisk와 유사한 fsck 명령어로 파일 시스템 점검 -> 부팅 시간이 오래 걸림
- ext3: 리눅스에서 가장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 파일 내용 변경 시 파일 시스템과 바로 동기화 작업이 이뤄지므로 비정상적인 종료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 하드디스크 헤더 사용을 최적화해 동일 데이터를 여러 번 저장해도 속도가 빠름.
리눅스 설치 전 준비사항 - 하드웨어 시스템 체크 및 배포판 프로그램
리눅스에서는 대부분의 하드웨어 정보를 기본적으로 지원(cpu, 메모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 체크) 메모리는 스왑 파티션 설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리눅스 설치 종류
- 리눅스 전용 설치: 그래픽 모드, 텍스트 모드 설치
- 듀얼 부팅: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와 리눅스를 설치해 멀티 부팅
- 하나의 하드디스크를 두 개의 파티션 설정
- 두 개의 하드디스크에 각각 설치
Virtual Box. 가상 OS
일반적으로 리눅스 설치 부팅 디스크를 만들 때 사용되는 부팅 이미지는 boot.img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