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About
    • PI photo

      PI

      Beginner's Blog

    • Learn More
    • Github
  • Posts
    • All Posts
    • All Tags
    • All Categories
  • Projects

[DISCRETE MATHEMATICS] 이산수학 집합

📆 Created: 2022.10.08 Sat

Reading time ~1 minute

목차

  • 집합
  • 집합의 개념
  • 집합의 종류

집합

  1. 집합(Set): 영문 대문자(A, B, C, …)
    • 명확한 기준에 의해 분류되어 공통된 성질을 가지며 중복되지 않는 원소(Element, Member)의 모임
  2. 집합의 표기 방식
    1. 원소나열법: 집합에 포함되는 원소들을 일일이 나열하는 방법. ex) A = {1, 2, 3, 4}
    2. 조건제시법: 집합에 포함되는 원소들의 공통적인 성질을 조건식으로 제시하는 방법 ex) A {x 0 < x < 7, x ∈ Z}
    3. 벤다이어그램: 집합과 원소의 포함관계를 그림으로 보여주는 방법
  3. 기수(Cardinality): A
    • 집합 A에 포함되는 원소의 개수

집합의 개념

  1. 집합의 종류
    • 유한집합(Finite Set): 집합에 포함된 원소의 개수가 유한한 집합
    • 무한집합(Infinite Set): 집합에 포함된 원소의 개수가 무한한 집합
  2. 원소의 집합에 대한 포함관계
    • a가 집합 A의 원소이다: a ∈ A
    • a가 집합 A의 원소가 아니다: a ∉ A

집합의 종류

  1. 전체집합(Universal Set): U
    • 논의 대상이 되는 원소 전체를 포함하는 집합
  2. 공집합(Empty Set): ∅ or {}
    • 원소를 하나도 포함하지 않는 집합으로 기수가 0인 집합. ∅ = 0
  3. 상등(Equal): A = B
    • 두 집합 A, B에 속하는 원소가 모두 동일할 때, “두 집합 A와 B가 서로 같다” 또는 “두 집합 A와 B가 서로 상등이다”라고 한다. A = B ↔ {a ∈ A ∧ a ∈ B}
  4. 부분집합(Subset): A ⊆ B
    • 집합 A의 모든 원소가 집합 B에 포함되는 경우, A ≤ B
  5. 진부분집합(Proper Subset): A ⊂ B
    • 집합 A의 모든 원소가 집합 B에 포함되지만 집합 A와 B가 상등이 아닌 경우, A < B
    • 집합 A와 B가 상등이면 서로 부분집할일 수 있으나 진부분집합은 아님.

집합 간의 포함관계

  1. 모든 집합 A에 대해 A ⊆ A
  2. 모든 집합 A에 대해 ∅ ⊆ A
  3. 모든 집합 A에 대해 A ⊆ U
  4. 집합 A, B, C에 대해 A ⊆ B이고, B ⊆ C이면, A ⊆ C
  5. 집합 A, B에 대해 A = B ↔ (A ⊆ A ∧ A ⊆ A)


DISCRETE MATHEMATICS Share Tweet +1
/#disqus_thread